비즈니스와 술의 관계 비즈니스를 하면서 술은 뗄래야 뗄수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음주가무가 환상적으로 발달하고 모든 개인의 생활에 침투해 있는 나라에서는 더더군다나 비즈니스를 하면서 사람과 가까워지기 위하여 술자리를 같이 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나도 sales를 시작하면서 많은 기업 고객들과 술자리를 가졌었다. 처음에 일을 시작할 때는 아는것도 미약하고, 사람은 친해져야 겠고하니 선택하는 것이 저녁 시간에 약속을 잡는 것 뿐이었다고 생각이 된다. 일이 성과를 내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술 만큼 더 좋은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 시기였다. 술 또한 나의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듯 많은 성과를 나에게 가져다 주었다. 직장생활 초기에는 거의 매일 술자리를 가졌었다. 내,외부 사람을 가리지 않고(솔직히 그 시.. 더보기 보이는 것에 민감한 사람은 왜 그럴까? 회사에서 일하다보면 꼭 있는 사람의 유형 중 한가지에 대해서 적어보려 한다. "성과에 대하여 과대포장하거나, 알맹이 보다는 보여지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 보통 showing에 민감한 사람들이나 showing에 거의 업무의 대부분을 보내는 사람들이 꼭 있기 마련이다. 자신의 성과를 포장하기도 하고, 남들의 성과를 자시의 것인양 아니면 자신이 더 많은 공헌을 한 것인양, 최악의 경우는 자기 직원의 성과를 자신의 성과인 양 포장하는 사람은 어느 조직에나 있는 성향의 사람이다. 자신이 보여주고 싶어하는 일의 결과물의 중심에 서서 그에 합당한 공헌을 하였다면 이러한 사람의 성향이 그리 밉다거나 한심스러워 보이지는 않을거다. 그러나 이러한 성향의 사람들이 있다고 말하는 것의 의미 중에는 일은 제대로 하지 .. 더보기 생각을 적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구나. 생각을 적는다는 건, 생각을 하는 것하고는 많이 다른 것 같다. 우리는 평소에 많은 생각을 하지만, 그것을 표현하거나 전달하는데는 생각을 하는 것만큼의 또 다른 능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는 뭘해야 될지는 알고 있으나 실행이 안되면 의미없듯이, 그러나 계획과 실행은 완전 별개의 stage인 것 처럼 생각을 하는 것과 생각을 전달하는 것도 다른 차원의 것들이며, 이것들을 한 공간에서 다루는 사람은 단순히 말을 잘 한다기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좋은 생각들을 많이 하더라도 표현이 후지면 그 생각이 후져 보이고, 나쁜 생각을 하더라도 너무 smart하고 설득력있게 전달하면 그 나쁜생각이 좋은생각으로 둔갑을 하듯 사람들이 좋은 생각을 많이 하고, 그 생각들을 잘 전달하여 나누고,.. 더보기 이전 1 ··· 39 40 41 42 43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