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iness Insight

비즈니스와 술의 관계

                                                           <너 한잔하고 있니?>

비즈니스를 하면서 술은 뗄래야 뗄수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음주가무가 환상적으로 발달하고 모든 개인의 생활에 침투해 있는 나라에서는 더더군다나 비즈니스를 하면서 사람과 가까워지기 위하여 술자리를 같이 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나도 sales를 시작하면서 많은 기업 고객들과 술자리를 가졌었다.

처음에 일을 시작할 때는 아는것도 미약하고, 사람은 친해져야 겠고하니 선택하는 것이 저녁 시간에 약속을 잡는 것 뿐이었다고 생각이 된다.

일이 성과를 내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술 만큼 더 좋은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 시기였다.

술 또한 나의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듯 많은 성과를 나에게 가져다 주었다.

 

직장생활 초기에는 거의 매일 술자리를 가졌었다. 내,외부 사람을 가리지 않고(솔직히 그 시절은 가릴 짬밥이 아니었다) 많은 술자리와 가무를 했었었다.

이러다 보니 먼가 하는 일의 성과는 좋아지나 안 좋아지는 것이 있었다.

바로 건강이었다. 나는 나름 운동을 많이해서 건강이 전에 비해 안 좋아졌다는 것을 쉽사리 느낄 수 있었다. 배도 나오고, 피부는 푸석푸석하고, 소화가 잘 안되기 일쑤었으며, 스트레스는 높아만 갔다.

 

일과 술자리를 잘 배분하면 될 문제였으나 나는 특단의 조치를 스스로에게 내렸다. "술을 하지 말자"였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술을 대체할 방법을 찾자"였다.

 

비즈니스를 하면서 술이 깊숙히 연계가 되면, 비즈니스의 성과는 따라온다. 그러나 그 비즈니스의 성과는 나의 가치로 인해 되었다기 보다는 술의 가치가 더 컷을 것이다. 그러니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선 술을 계속 더 먹어야 하고, 더욱 더 술에 종속이 되게 되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식으로 계속 일을 할 수 있을 것인가? 내 주변에도 술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고 거의 매일 술을 드시는 분들이 계셔서 내가 속단하기는 어렵지만, 술을 계속 먹다간 몸이 남아나지 않을 것 같았다. 자기 관리를 잘해도 이건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나는 술의 가치보다 나의 가치가 무엇인지 더 알고 싶었다.

 

그래서 비즈니스를 할 때 술을 줄이기 시작했다. 단박에 그렇진 못했고, 점차적으로 술여서 시작한지 1년이 지나서 거의 술을 하지 않고 일을 하는 것으로 스타일을 바꿔 나갔다.

 

그러면서 고민한 것이 나의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 라는 질문이었다.

그 분들이 정말 술을 원하는 것일까? 아닐 것 같다. 술은 부가적인 것일 뿐이다.

정말로 그 분들이 하는 일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거나, 그 사람들에게 신뢰를 얻도록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 라는 고민을 많이 했었다.

 

술자리에서 보내는 시간을 대체하기 위하여 고객사에 더 자주 방문하였고, 아에 고객사 사무실에 자리를 잡고 일하기도 하였으며, 그들이 하는 일에 실질적으로 도움으로 더 빨리, 잘 주기 위해 낮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하였다.

이러니 내부에서 해야할 업무들이 좀 소홀해 지긴 했지만, 나름 개선되는 성과가 있었고, 술자리가 적어지더라도 고객들은 크게 불만을 제기 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러가지 국제적인 경제지표나 국내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기업들도 회식 등 우리나라의 안 좋은 음주문화에 대하여 자제하는 분위기까지 생기니 자연스럽게 술자리는 적어지게 되었다.

 

물론 술을 아에 안 먹는 것은 말이 안된다. 필요한 술자리는 만들어서 같이 즐기고 웃고 떠든다. 술을 먹어야 하는 자리이면 술을 많이 먹기도 한다. 그러나 나름대로 술을 통제 할 수 있다는 것과 나의 가치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다는 것은 내가 내적으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술울 줄여서 안 좋은 점은 사람들이 이제는 술을 잘 안 권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술자리가 생겨도 나는 어차피 잘 안 마시니 안 부르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고 가끔은 술 안먹는다고 핀잔을 듣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많은 사람들이 저녁에 술한잔 하면서 관계를 더 돈독하게 하는데 이런 기회가 좀 줄어드니 아쉽기는 하지만, 모든 것을 다 얻을 수는 없으니 감수할 것은 감수한다.

 

우리나라의 비즈니스도 술과 멀어지고, 그 비즈니스의 가치를 서로 이해하고, 그 가치에 시간과 열정을 더 투자하여, 본질적으로 해야할 것에 더 focus하게 된다면(어떤 업체가 나와 더 술을 먹었느냐 보다는) 기업의 비즈니스 문화를 많이 양성화 되지 않을 까 생각한다.

 

그러나 비즈니스에는 답이 없다. 오늘 비즈니스를 하면서 술과 연관된 작은 부분을 이야기 하였지만, 이건 나의 생각일 뿐 비즈니스 세계에서 오로지 정답은 "이기는 것" 뿐이다.

 

그리고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술먹는 것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고 나의 고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니 애주가 분들은 욕하지 말아 주세요.

 

추가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비즈니스에 잘 접목시키시면서, 고객들과 술자리도 훌륭히 치뤄내시는 여러 비즈니스맨분들께서는 꼭 비법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즐거운 tgif 보내시기 바란다. 오늘 년말에 금요일이라 또 술자리인가?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