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 썸네일형 리스트형 갈구거나 쪼는 기업문화는 왜 안 없어질까요? 오늘은 제목이 좀 촌스럽지만, 꼭 한번 다루어 보고 싶은 부분이었습니다. 미주나 구주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수직적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외국기업들도 수직문화가 있지만 그것은 아주 formal한 틀안에서 대부분 움직인다고 느껴지나 우리나라 기업의 수직문화는 개인적인 감정이 그 안에 많이 담겨 있다고 느껴지는 것이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혹시 다른 의견 있으시다면 조언을 주세요. 제 생각은 위와 같습니다. 이런 기업 문화안에서 그리고 남자들이 대부분 겪은 군대문화와 우리나라의 장유유서 문화까지 섞여서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갈구거나 쪼는 것이 당연시 되기도 합니다. 당연시... 당연시... 이 글을 읽는 당신도 혹시 왜 이런 문화가 당연시 여겨지고 나에게도 행해지고 내가 .. 더보기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사람이 결국 승리한다. 솔직한 감정의 표현은 우리의 일상 생활 뿐 아니라 비즈니스에서도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리더쉽 교육을 받다보면 사람들은 그 교육에서 전략이니 추진력이니 이런 말들이 많이 나올 것 같지만, 리더쉽 교육에서 그보다 더 많이 나오는 단어가 바로 감정(Emotion)이다. 그것은 감정이 바로 리더쉽의 근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근간이 되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앞 posting에 "도움을 청하라"라는 글에 적었듯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솔직한 자기 감정이나 의견을 표출하는 것이 그리 익숙하지 않고 능숙하지도 않다. 말한바와 같이 우리의 전통적인 생각의 관습이 이런 영향을 많이 주었지만, 요즘은 그런 것들도 많이 변하고 있다. 내 생각에는 더 변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자기의 객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