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ustice

윤리가 왜 제일 처음일까요? 초등학교때 부터 고등학교때까지 여러가지 과목을 시험을 치고, 만일 동점자가 나오면 윤리나 도덕점수가 높은 사람이 더 좋은 등수를 받았던 기억이 모두들 있을 것 입니다. 저도 그 당시에는 왜 별로 중요하지도 않고, 솔직히 별로 어렵지도 않은 도덕/윤리과목을 잘하는 사람을 우선으로 쳐줄까 하는 고민도 잠깐 해 보았지만, 이제와 다시 생각해 보면 다 뜻이 있었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윤리는 기업윤리이건 개인윤리이건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입니다. 흔히 기업에서 integrity라고 하는 것들은 모두 이 윤리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들입니다. 비즈니스에서 제일 중요한 것도 integrity입니다. 기업활동을 하다보면 윤리적인 행동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만날때.. 더보기
삼성에게 도덕성이란 어떤 의미인가? 마이클 샌델 교수의 Justice라는 하버드 대학 강단에서의 강의가 큰 인기를 얻었던 때가 있었다. 지금도 여전히 인기가 있지만, 그 내용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것은 하버드라는 최고 대학의 석학의 강의라는 것 이외에 정의라는 단어가 이 시대에 던지는 화두가 과거에 비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비대해지고, 더 많은 비즈니스 transaction을 양산하면서 우리는 성장이라는 미명아래 가려져 있던 도덕성이라는 단어를 조금씩 더 수면밖으로 꺼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도덕성이라는 word는 점차 사람들의 인식에서 중요한 것으로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을 자극하기 시작했다. 기업들은 더 성장하기 위해 더 도덕적이어야 한다는 명제는 이제 당연한 것처.. 더보기